반응형 기후위기11 기상청 발행 - 2020 기후변화평가보고서 요약 최근 기후위기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투자공부를 하던 도중 좋은 자료를 알게 되어 적은 사람이라도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이 있다면 기상청에서 5년마다 발간하는 기후변화평가보고서에 대한 존재도 알리고 내가 공부도 할 겸 요약보고서를 다시 한번 요약해보려고 한다. 1. 배경 기후변화 적응 및 피해저감을 위하여 IPCC는 전 세계 기후변화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집대성 하여 5~6년 간격으로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등 국가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하여 IPCC 평가보고서와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2011년 부터 5년마다 기후변화 평가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장별 본문 작성은 연구 결과를 주제별로 구성하여 작성한다. 각 장의 결론에 연구 결과의 동의 수준.. 2021. 11. 2.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 목표관리제 우리나라 탄소 감축의 대표적인 제도 두가지 중에 하나이다. 정부로부터 배출량을 할당받아서 배출량을 초과할 시 벌금을 지불해야하는 제도이다. 공공부문 목표관리제의 경우 매년 일정기준치를 달성해야 하며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이행실적을 관리한다. 배출권 거래제 우리나라 탄소 감축의 대표적인 제도 두가지 중에 나머지 하나이다. 배출권 거래제는 초과할 경우에 다른 곳의 배출권을 구매할수도 있고 남을 경우 판매할수도 있는 제도이다. 정부가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기업들의 배출허용량을 설정하여 할당하고 배출권 잉여업체와 부족업체 간에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이다. 적용대상은 최근 3년간 배출량이 연평균 125,000톤 이상인 업체 또는 25,000톤 이상의 사업장 ex) 예를 들어 A그룹의 전체 배출.. 2021. 5. 26.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내 정보 왜 파리기후협약은 2도씨 감축을 목표로 했나? 인류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점이 2도씨였다. 하지만 여전히 이행력이 부족하다. 현재 수준으로 볼때 2도씨 감축 목표는 버거워 보인다. 그래서 1.5도씨로 목표를 하향했지만 1.5도씨 역시 여전히 부족하다. 2도씨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현재 파리협정당사국이 제출한 indc보다 3배 이상 줄여야 하며 1.5도씨를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5배 더 감축이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책 우리나라의 주 온실가스 배출처는 에너지 발전이다. 발생량의 80% 정도로 절대적이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연소 연료에 의한 1인당 CO2 배출량 6위의 나라이다. (2015년도 기준) 우리나라는 2009년도에 처음으로 2020년도 감축목표를 설정했다. (BAU 30%감축.. 2021. 5. 2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