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9

한화솔루션 왜 부진할까? 현재 기후위기는 계속 심각해져 가는데 왜, 친환경 에너지 중에 가장 효율적이고 대중적이라는 태양광이 부진한 걸까요? 첫 번째, 중국발 과잉공급에 의한 부진입니다.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생산으로 인한 공급과잉이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을 유발하였고, 이런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한화솔루션의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해 다양한 규제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제품의 직접적인 수출이 줄었을 뿐, 공급과잉 현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중국이 우회수출을 통해 계속해서 미국 시장에 진입을 하였던 영향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그 우회수출도 막을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유럽, 인도, 중남미, 아시아 등의 시장에도 대규모 생산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과잉공급을 .. 2025. 3. 21.
하수처리장에서 ALUM을 사용하는 이유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PAC 종류와, 고분자 응집제 폴리머 외에도 과거 많은 응집제들이 사용되었습니다.오늘은 그중 ALUM(황산알루미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LUM이란?Alum은 황산알루미늄으로 황산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무기화합물입니다. 물에 녹으면 강한 응집효과를 내며, 미세한 물질들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분자량은 약 342.15g/mol이며, 백색 결정의 고체 또는 분말로 사용합니다. 물에 투입되면 매우 잘 녹고 황산이 주성분이므로 pH가 감소하게 됩니다. 주요 메커니즘은 물속으로 투입된 Alum에서 Al3+이온이 방출되고 Al(OH)3가 형성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Al(OH)3는 미세입자들을 응집시켜 플록을 형성합니다.또한 PO4와 결합하여 AlPO4를 형성하여 인을 제거합.. 2025. 3. 7.
생물학적수처리 : 자산화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에서 자산화(自酸化, Autoxidation)가 일어나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생물학적, 공정적 요인 때문입니다. 자산화란 유기물이 완전히 산화되어 이산화탄소(CO₂)와 물(H₂O)로 분해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런 생물반응조 미생물의 자산화는 반응조 내의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일어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자산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생물반응조 미생물 자산화의 원인1. 미생물 대사 과정생물학적 처리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주로 호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된 에너지는 일부는 미생물의 성장을 위해 사용되지만, 남은 유기물은 미생물의 대사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히 산화됩.. 2025. 1. 30.
화학산업 업황 판단지표 최근 우리나라 화학업종의 업황이 부진한 이유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글로벌 수요 둔화 및 경기 침체 우려미·중 무역갈등, 유럽 경기침체,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가 주춤하고 있습니다.최종 수요처인 자동차, 건설, 가전 등 제조업 전반의 둔화로 화학 원재료 및 중간재 수요 역시 감소합니다.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화학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나프타(Naphtha)나 천연가스 가격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에너지 가격 변동은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특히 국내 업체들은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환율 변동과 국제 유가상승 등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공급 과잉 및 마진 압박글로벌 시장에서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한 공급.. 2024. 1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