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화학산업 업황 판단지표

by BAE.Heeya 2024. 12. 13.
반응형

최근 우리나라 화학업종의 업황이 부진한 이유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요인을 들 수 있습니다.

  1. 글로벌 수요 둔화 및 경기 침체 우려
    • 미·중 무역갈등, 유럽 경기침체, 중국 경제성장 둔화 등의 복합적 요인으로 전 세계적으로 화학제품에 대한 수요가 주춤하고 있습니다.
    • 최종 수요처인 자동차, 건설, 가전 등 제조업 전반의 둔화로 화학 원재료 및 중간재 수요 역시 감소합니다.
  2.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 화학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나프타(Naphtha)나 천연가스 가격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에너지 가격 변동은 생산원가 상승으로 이어지며, 특히 국내 업체들은 수입 원자재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환율 변동과 국제 유가상승 등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공급 과잉 및 마진 압박
    • 글로벌 시장에서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한 공급 확대가 이어지면서 석유화학제품 스프레드(마진)가 축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특히 아시아 지역 내 대형 설비 증설 및 중국의 자급도 상승은 국내 화학기업들의 시장 지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4. 환경규제 강화 및 정책 변화
    •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저탄소 생산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기존 화학제품 생산 공정 개선 및 친환경 제품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 환경규제로 인한 추가비용, 설비투자, R&D 지출 증가 등으로 비용 구조가 부담스럽게 변하고 있습니다.

업황 판단에 유용한 지표 및 참고할 만한 데이터

  1. 국제 유가 및 나프타 가격 동향
    • 나프타는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기초 원료입니다. 국제 유가 및 나프타 가격 움직임을 살펴보면 원가 구조 변화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 한국석유공사(KNOC)나 국제 원유시장 보고서, 에너지 정보 사이트(IEA, EIA) 등을 통해 원자재 가격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2. 석유화학 제품 가격 지수 및 스프레드
    •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파라자일렌(PX) 등 기초 유분 가격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합성수지(PE, PP, PVC 등) 가격을 추적하면 시장 수급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ICIS, IHS Markit, Platts 등 글로벌 가격정보 서비스 제공업체의 데이터나 국내 무역협회(KITA), 석유화학협회 등에서 제공하는 가격 리포트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스프레드(제품 판매가격 - 원료비용) 추이를 보면 기업들의 이익구조 변화를 파악하는데 도움됩니다.
  3. 화학산업 생산지수 및 가동률
    • 통계청(KOSIS)에서 제공하는 화학제품 생산지수, 제조업 평균 가동률 등은 전체적인 산업활동 상태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 국내 화학기업들의 설비 가동률이 하락한다면 해당 기업들이 수익성 압박을 받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4. 무역수지 및 수출입 동향
    • 한국무역협회(KITA)의 수출입 동향자료에서 화학제품 수출액, 수입액 및 무역수지 변화를 확인하면 해외 수요 및 글로벌 경쟁환경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수출 감소나 특정 지역으로의 수출 둔화는 업황 부진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5. 글로벌 경기 선행지표 및 PMI(구매관리자지수)
    • 글로벌 제조업 PMI, 미국 ISM 제조업 지수 등 거시적 경기 선행지표를 참고하면 화학제품 수요를 예측하는데 간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방 산업(자동차, 전자, 건설)의 PMI 추이도 화학제품 수요 변화를 예측하는데 유용합니다.
  6. 투자은행(IB) 및 컨설팅기관 리포트, 학술 및 전문연구기관 자료
    •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맥킨지(McKinsey) 등 글로벌 IB나 컨설팅기관의 산업 전망 리포트를 통해 거시적 전망과 투자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한국석유화학협회, 산업통상자원부,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투자공사, 무역협회 연구소 등의 공식자료, 논문, 보고서를 참고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화학업종의 침체가 길어지면서 궁금하실법한 내용들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전망  (0) 2023.08.08
전고체 배터리  (0) 2023.03.17
네이버 최근 소식  (0) 2023.03.11
미국 반도체 지원법  (0) 2023.03.07
재무제표를 통한 적정주가 판단 방법  (0) 2023.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