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에 있어 적정주가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적정주가를 찾기 위한 참고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P/E 비율
P는 현재 주식의 가격 Price를 의미하고 E는 주당이익 EPS를 의미합니다. 현재 주가를 주당이익으로 나눠주면 P/E 비율이 높으면 그 기업의 미래 성장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P/E 비율이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되어 있거나 시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이 기업은 잠재력이 별로 없구나 하고 생각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P/E비율에서 EPS는 언제 시점의 EPS를 사용하면 될까요? 여러 가지 시점을 사용할 수 있겠지만 최근 연간 EPS를 사용하거나 미래를 보고 싶을 때는 애널리스트들이 분석해 놓은 컨센서스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비율이 높다면 잠재성장력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과도하게 높다면 잠재력에 비해 고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식을 판단하는 모든 지표에 무조건 좋고 무조건 나쁘다는 없습니다. 항상 적정선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기업을 분석할 때는 산업을 분석해야 하고 경쟁업체도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2. P/B 비율
P는 현재 주가를 의미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B는 무엇일까요? B는 주당 장부가치를 의미합니다. 주당 장부가액은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빼고 남은 총가치를 미지급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이 것은 주당 회사의 순자산을 의미합니다. 현재 주가를 주당 장부가액으로 나누면 P/B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P/B 비율이 1 미만이면 회사의 주당 장부가액보다 적게 내고 주식을 사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보다 큰 경우에는 장부가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내고 주식을 사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역시 산업의 P/B 비율과 경쟁사의 P/B비율을 참고하며 그 수준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P/S 비율
P는 시가총액을 의미하며 S는 총매출을 의미합니다. 시가총액과 총매출을 비교하여 수익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것 역시 높으면 고평가 낮으면 저평가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 산업과 기업을 비교해서 판단하시면 좋은 지표입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비용이나 이익 또는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지 않고 나오는 비율이기 때문에 위의 비율과 함께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P/S 비율은 스타트업처럼 아직 투자단계에 있는 회사들에게 적용됩니다. 스타트업과 같은 기업의 경우 P/E 비율의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P/S 비율을 사용함으로써 가치평가에 조금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의 일부분을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시장 상황은 대세 상승장처럼 대부분의 기업들이 상승하는 장이 아니라 돈 잘 벌고 기술력 있는 기업들이 오르는 장입니다. 최근 공부하고 계신 기업들이 있다면 이 비율을 경쟁기업과 한번 비교해 보시고 본인이 생각하는 기업의 가치와 상응하는지 비교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최근 소식 (0) | 2023.03.11 |
---|---|
미국 반도체 지원법 (0) | 2023.03.07 |
주식투자를 위한 기본적 기업 분석 방법 (0) | 2023.02.06 |
에코프로 이노베이션, 리튬 소재 (0) | 2023.01.21 |
산타랠리 전망 (0) | 2022.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