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농업분야의 애플 에어로팜

by BAE.Heeya 2022. 12. 20.
반응형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벤처기업 에어로팜입니다. 일반 농업 방식에서 수경재배 방식으로, 거기서 다시 한 단계 올라갔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에어로팜의 분무식 재배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어로 팜

첨단 스마트팜 개발의 선두주자, 에어로 팜의 스마트팜 시스템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아쉽게도 아직 상장되지 않은 종목이라 투자하기가 쉽지 않지만 원래 투자는 미리 공부해두고 적정 가치 이하일 때 매수 적정가치 혹은 그 이상일 때 매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작년 상반기 SPAC을 통한 우회상장을 시도했으나 무산되었다. 앞으로도 상장을 위한 시도는 계속될 것 같으나 아직 시간이 필요한 듯 보인다. 합병 당시 예상 가치는 12억 달러, 한화로 1조 5000억 원에 달한다. 

 

*SPAC 상장

SPAC은 자금을 모아 주식 시장에 상장을 하고 정해둔 기간 내에 비상장 기업을 합병하는 속 빈 껍데기 기업이다. 정식 공개상장보다 절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PAC은 이를 통해 유망한 기업을 인수하여 수익을 얻는다. 

 

2. 에어로 팜의 분무식 재배 시스템이란?

스마트팜은 원래 수경재배 방식을 활용하여 재배하는 방식인데 수경재배의 경우 흙 없이 물로만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특징이다.  작물이 성장하는데 흙은 지지대 역할과 영양분 공급이 주 역할인데 영양분을 따로 공급해준다면 사실 지지대 역할만 하는 것이다. 수경재배는 물만 가지고 작물을 키울 수 있다는 데서 시작했고 미래 농업 방식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하지만 수경재배라고 완벽한 재배방식은 아니었다. 수경재배의 단점은 물을 많이 쓴다는 것이고 이것은 에너지 소비로 이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에어로 팜의 분무식 재배 시스템이 떠오르게 된 것이다. 분무식 재배 시스템은 말 그대로 수조에 물을 받아놓고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물을 영양분과 함께 필요한 시기에 분무해주는 재배 시스템이다.

 

3. 분무식 재배 시스템의 장점

일반 농사 방식에 비해 95%가량 적은 물을 사용한다. 수경재배 방식에 비하더라도 40%가량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경재배의 경우 작물의 뿌리가 물에 잠겨있기 때문에 산소를 공급받기에 어려움이 있다. 분무 재배방식은 뿌리가 공기와 접촉하고 있어 보다 산소 공급에 용이하다. 이 때문인지 일반 스마트팜에 비해 열매 생산량이 높고 빠른 생육을 하게 된다.

흙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농사를 지을 때 발생하는 해충 문제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그렇다 보니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아 수확량 증가에 한몫하게 된다.

9m의 복층 구조로 재배하기 때문에 면적당 연간 생산량이 일반 농장보다 390배가량 뛰어나고 재배 기간은 15일 정도로 매우 짧다. 

 

4. 에어로 팜 분무식 재배시스템 단점

스마트팜의 단점이기도 한 시설비가 많이 소요된다. 일반 농업인들에게 아직까지 스마트팜이 부담스러운 이유는 초기 시설비용일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물이 흙이 아닌 시설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공기에 노출되어 있다. 이 점은 산소를 공급받기 용이한 장점도 있지만 주변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으로도 작용한다. 정전 등으로 인해 온습도 설비가 고장 날 경우 식물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다. 꼭 재난이 아니더라도 평소에 온도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 단점이다. 분무식 시스템에서 오는 단점도 있는데 분무식 재배시스템의 필수적 요소인 분무 노즐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막히게 될 경우 정비 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개인적으로는 실험실에서 일하면서 다양한 기기들을 만지고 있지만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노즐이 막혀 수리를 받는 기기들이 상당히 있다. 

 

오늘은 비록 비상장회사이지만 주의 깊게 봐 두면 좋을만한 기업 에어로 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코프로 이노베이션, 리튬 소재  (0) 2023.01.21
산타랠리 전망  (0) 2022.12.22
삼프로 TV 미국투자 전망  (0) 2022.12.18
경기 순환과 경기선행지수  (0) 2022.12.18
대표 스마트팜 기업 그린플러스  (0) 2022.1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