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갈수록 에너지 문제와 식량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에너지와 식량은 인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관련 시장이 지금 보다 몇 배는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스마트팜의 대표 기업인 그린플러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로 나가는 그린플러스
그린플러스에 대해서는 몇 번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그린플러스는 국내 대표적인 스마트팜 기업입니다. 매출도 같은 업종 다른 기업에 비해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아쉬운 점은 대부분의 수익이 내수에서 발생한다는 것이었는데요. 최근에는 해외로 진출하여 수출 비중을 늘리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그린플러스는 현재 전 세계에 9개의 수직 농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국 농업 스타트 팜 기업인 에어로팜 다음으로 국내에는 최초로 실증에 성공하여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2020년 MarketetsandMarkets는 앞으로 온실 산업의 규모는 2025년까지 연평균 9.8%의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았으며 국내 스마트팜 시장은 25년까지 15.5%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네덜란드의 경우 대부분이 스마트팜으로 작물이 재배되며 캐나다도 40%에 육박합니다. 하지만 아직 한국은 1% 남짓인데요.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1위 기업
그린플러스를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국내 유일하게 설계부터 제작, 시공까지 모든 밸류체인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경쟁사에 비해 시공과정에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낮고 고객이 원하는 품질에 가깝게 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한 기업에서 모든 부분을 담당하기 때문에 시공 일정을 맞추기도 타 기업에 비해 쉽습니다. 국내 스마트팜의 경우 대형 온실 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여 매출 규모가 작은데요. 대부분 일반 농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를 내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한국농업시설협회에서 공시해주는 평가 결과를 이용한 평가 순위로 최근 4년간 국내 1위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22년 온실시공능력 평가에서도 그린플러스가 10년 연속으로 티에스팜, 대영지에스, 태경산업 등을 제치고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첨단 수직농장
최근에는 첨단 수직농장으로 무빙 배드시스템으로 인해 무인으로 자동 이동되며 파종과 수확시기에만 관리해주면 됩니다. 무빙배드 하부에는 3단 LED가 설치되어 있어 3주간 생육 후 자동으로 상층부 4단으로 이동하여 자연광 배드에서 1주일동안 생육합니다. 첨단 수직농장은 기존 재배 방식과 동등한 품질로 재배가 가능합니다. 무빙배드 시스템은 2022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되어 22년 하반기부터 매출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은 스마트팜 대표 기업 그린플러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도 새로운 소식이 나오면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공부하는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프로 TV 미국투자 전망 (0) | 2022.12.18 |
---|---|
경기 순환과 경기선행지수 (0) | 2022.12.18 |
삼프로 TV 환율 전망 (0) | 2022.12.08 |
월스트리트저널 미국 금리인상 시사 (0) | 2022.12.06 |
슈퍼개미 이승조 투자법 (1) | 2022.1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