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경공학25

하수처리장 소독시설 1. 소독이란?소독은 세포벽을 파괴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키고 용해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세포 투과력이 저하되며 영양소 물질대사 기능이 약화됩니다. 또한 열을 가하게 되면 세포 단백질이 응고되고 대사기능이 정지됩니다. 염소 등의 산화제를 사용하면 화학적으로 구조가 변화되고 효소의 활동이 저해됩니다. 소독은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습니다. 물리적인 방법은 자외선, 가열 등을 이용하는 것이고 화학적 방법은 오존, 과산화수소,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2. 소독시설이 필요한 이유.하수처리장에서 소독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로 공중 보건을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하수에는 다양한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병원균을 통해 수인성 .. 2024. 10. 3.
ML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s) 1. MLSS란?MLSS는 생물학적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 슬러지 공정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MLSS는 활성 슬러지가 포함된 고형물 농도를 의미합니다. MLSS를 측정함으로 하수처리장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MLSS는 일반적으로 mg/L의 농도로 나타내며 측정된 농도를 바탕으로 인발량, 반송량 등을 조절합니다. 2. MLSS의 역할MLSS는 생물반응조 내의 미생물 농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유입수를 분해할 수 있는 인력이 얼마나 되는지 비유해서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생물에게 유기물은 먹이이며 흔히 말하는 F/M비는 유기물과 미생물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렇듯 100개의 유기물이 유입되었다면 몇 마리의 미생물을 유지하는 것이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는지 생각하면서 운전하는 것이 매우 중요.. 2024. 9. 29.
응집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될까요? (응집 메커니즘) 응집제의 응집 메커니즘은 물질들이 서로 결합하여 더 큰 플럭이 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주로 물 또는 하수 처리에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응집제는 이러한 부유물질이 효과적으로 결합하고 침전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응집 메커니즘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뉘며, 각 메커니즘은 응집제의 종류와 작용 방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전기적 중화부유물질은 일반적으로 표면에 음전하를 띠고 있으며, 이 음전하는 물속에서 입자 간에 정전기적 반발력을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반발력은 입자들이 서로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며, 이로 인해 응집이 어렵게 됩니다. 전기적 중화를 통해 전하를 중화하여 입자 간의  응집을 수훨하도록 합니다.만약 무기 응집제를 물속에 투입하였을 때 수중에 다가 양이온이.. 2024. 9. 28.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슬러지 처리과정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된 슬러지의 처리 및 운영 관리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는 부패성이 강하고 보건 위생상으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슬러지는 높은 함수율을 가지고 있어 그 부피가 크고, 이를 적절히 처리하지 않으면 2차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운영비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무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업무 중에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슬러지 처리의 목적과 다양한 처리 공정, 그리고 최종 처분 방식 및 재활용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이 될 수 있겠지만, 내용을 잘 기억해 두시면 실무에서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슬러지 처리의 목적왜 슬러지를 처리해야 할까요? 슬러지 처리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부피 감소: 슬러지의 부피를 줄여 취급과.. 2024. 9.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