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태양광

한화솔루션 왜 부진할까?

by BAE.Heeya 2025. 3. 21.
반응형

현재 기후위기는 계속 심각해져 가는데 왜, 친환경 에너지 중에 가장 효율적이고 대중적이라는 태양광이 부진한 걸까요?

 

첫 번째, 중국발 과잉공급에 의한 부진입니다.

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생산으로 인한 공급과잉이 태양광 모듈 가격 하락을 유발하였고, 이런 가격 경쟁 심화로 인해 한화솔루션의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해 다양한 규제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제품의 직접적인 수출이 줄었을 뿐, 공급과잉 현상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거기다 중국이 우회수출을 통해 계속해서 미국 시장에 진입을 하였던 영향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그 우회수출도 막을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유럽, 인도, 중남미, 아시아 등의 시장에도 대규모 생산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과잉공급을 막을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두 번째, 케미칼 부문의 부진입니다.

한화솔루션의 주력 사업은 케미칼과 태양광 두가지로 나뉩니다. 과거 태양광이 좋지 않을때 케미칼 부문에서 버텨주던 부분이 있었는데, 현재는 케미칼 조차 부진하여 현재 낮은 주가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언젠가는 회복될 수 있겠지만, 단기적인 전망을 보았을 때는 여전히 암울한 미래로 보입니다.  현재 글로벌 화학시장의 부진은 복합적인 면이 있습니다. 일단 중국이 세계 최대의 석유화학 소비국이자 생산국인데, 최근 몇 년간 자국 산업을 강화하기 위해 대규모 화학 플랜트 사업을 지속적으로 하였고, 글로벌 수요보다 생산 능력이 증가하면서 단가가 급격하게 하락하였습니다.  

 

또한, 미국, 유럽 선진국 중심의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소비가 위축되었습니다. 자동차, 건설, 전자 등의 석유화학 제품을 사용하는 산업들이 부진해지고 화학제품 수요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세번째, 트럼프 리스크입니다.

미국의 IRA 시행으로 현지 생산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기대가 컸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으로 인해 정치적 변수가 태양광 산업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네 번째,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공급망 문제입니다.

태양광 모듈에 필요한 실리콘 등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망 문제는 제조 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수익성 악화의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한화솔루션의 주력사입인 화학과 태양광 모두 원자재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원자재 가격에 실적이 움직이게 됩니다.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 판가도 올리면 되지 않느냐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분만큼 판가를 올리기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부문이 조금 더 그런 부분에 제한을 받는 것 같습니다. 

 

생산단가 상승은 제품 마진 감소로 이어지고 수익성이 악화됩니다. 공급이 과잉되면 재고 관리와 조달 계획 등을 조정함으로써 비용이 발생하고 이 역시도 결국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게 됩니다. 

 

현재 한화솔루션은 세계 최초로 양산 가능한 대규모 면적의 탠덤 셀을 제작하여 제삼자 기관에 인증을 받았습니다. 투자도 중요하지만 세계 기후위기에 각국 정부들이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지구의 기온은 계속해서 급등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기에 한화솔루션이 한국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여 세계 기후도 지키고, 한국의 주식시장에 활발한 에너지를 불어넣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텐덤셀, 페로브스카이트 알아보기

https://bae-heeya.tistory.com/26

반응형

'투자 > 태양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루션 부진이유와 전망  (4) 2024.10.23
태양광 패널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 2024.01.03
유니테스트 정보  (0) 2023.12.22
한화솔루션 솔라허브  (0) 2023.09.08
한화갤러리아 기업 정보  (0) 2023.09.06

댓글